VicPy 아두이노 기초 - 피에조 스피커 사용하기 > 아두이노

Arduino

아두이노 강의 리스트

VicPy | 아두이노 기초 - 피에조 스피커 사용하기

본문

※ 영상을 선명하게 보기 안내
  1. 유튜브 영상에서 오른쪽하단에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
  2. 팝업목록에서 "품질" 선택하세요.
  3. 원하는 해상도를 선택해주세요.
※ 모바일에서 Wifi가 아니라면 데이타가 소진될 수 있으니 주의바랍니다.
VicPy님의 아두이노강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1544429487446.jpg

 de 5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번 시간에는 피해 줘 스피커 사용하기를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수업할 내용을 알아볼게요 이번 시간에는 피해 줘 스피커를
피해 주 스피커가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요
이를 바탕으로 학교종이 를 연주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버튼 3개 짜리 지털 피아노를 간단하게 시작해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학습할 내용은 피해도 스피커 인데요 피해 줘 스피커가
무엇인지를 좀 알아 볼게요
p 해줄 스티커는 전지적 신호를 이용해서 소리를 내는 그런 장치입니다
그래서 피해 주 스피커는 기본적으로 피해 줘 효과라고 하는 그런 기능을
이용해서 특정 물질의 전기적 신호를 주면 수축 또는 확장하는 그런 피해
주 효과를 이용해서 소리를 내는 아주 간단한 형태의 스피커입니다
피에조 스피커 안에는 그 진동판이 하나 들어 있는데요 이 진동판 에는
전개를 인가하면 이 떨리게 되어 있습니다
이 떨리는 진동판 에 의해서 이 소리가 이렇게 발생하게 되는데 소리가
바로 피해 줘 에피카 는 부조 수리 가 되겠습니다
이러한 피해 줘 스티커는 기본적으로
어 어떤 소리를 낼 때 가장 간단한 형태
그런
그 스피커 줘 그래서 이 스피커를 이용해서
어학교 종이 땡땡땡 이라는 노래를 연주하는 프로그램 한번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짜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피해 주 스피커가 하나 필요하구요
지금 화면과 같은 아주 간단한 회로 구성이 피스 어 추가되어야 합니다
그 지금 보시면 어떻게 로 가 돼 있는지 한번 볼게요
이 피해 줘 스피커의 잘 봤더니 한쪽은 그라운드에 이렇게 결성해 돼
있구요
이 그라운드 쪽에 1 절 씀이 돼 있죠 그 다음에 또한 쪼금 여기에 보는
디지털 8번 핀의 이렇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피해 줘 스피커가 이렇게 그라운드와 8번 핀 의 연결을 시켜
보면 기본적으로 회로 구성이 되는 거죠
지금 제가 미리 이렇게 결선을 시켰는데요
매일 보시면 피해 줘 구조의 그 플러스와 마이너스 쪽에 결선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아두이노 예 보면은 요 암에
그 피해 줘 에 8번 디지털 핀 의 플러스 연결되어 있구요
이안의 그라운드 쪼개 - 가 연결된 것을 보실 수 있게 됩니다
피해 존은 지금 여기 제가 빼 볼게요 이렇게 생겨 있습니다
피해 줘 는 기본적으로 다리가 두 개 짜리 구요 극성을 갖고 있는데
다리가 긴 쪽 여기서 플러스 라고 표시되어 있는 이 부분이 있는데
플러스 는 보통 다리가 이렇게 좀 길죠 긴 쪽의 플러스
그다음에 짧은 쪽이 - 입니다 피에조 스피커 는 아내 얇은 금속판 이하나
들어있구요
여기서 전기를 인가하면 그 금속판에 떨림이
그 소리를 발생시키는 거죠 그래서 유아 4
금속판 이 그 구멍을 통해서 전기를 인가하면 파면 들리면서 소리를 줄여
가는 그런 간단한 형태의 스피커입니다
우리가 보통 스피커라고 하는거 우리 이어폰 같은거 많이 쓰시죠 이어폰
같은 경우에는 피해 줘 스피커에 대해서 약간 더 정교 하 죠
그래서 아주 얇은 막 보통 비닐 막 같은걸 이용해서 아내 전자석 이
정교하게 2
비닐 막 흔들어 줘 가지고 소리를 재생 을 시킵니다
어 지금 우리가 사용할 피해 스피커는 아주 간단한 기본적인 형태의 스피커
구요
여기 보이시는 것처럼 이렇게 결선을 해서 다시 연결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피해도 스피커를 연결 한 다음에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지금 화면에 보시는 것처럼 스케치 프로그램의
예 제가 보시며
디지털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영이 디지털이 있는데 디지털 안에
톤 멜로디 라고 하는 이런 부분이 있어요 이 부분을 선택하시면
지금 보시는 것처럼 그
이음 계 표 2 피해 줘 구조를 이용해서 소리를 낼 때 사용할 수 있는
음 제 표가 이렇게 설정되어 있는 파일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톰 멜로디 안에 이음 게 표가 들어 있는 p 치즈 라는 헤더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헤더 파일을 이용해서 우리가 학교종이 땡땡땡 노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 헤더 파일에는 여기 보시는 것처럼 은계 표 그 음계 표야 맞는 정수가
이렇게 쭉 매핑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 음계 풀을 복사하기 위해서
아두이노 스케치 프로그램에서 새 탭 을 선택하시구요 이 선택한 화면에서
그 피 치즈 헤더 라는 파일을 이렇게 입력을 합니다
그렇게 한 다음에 앞에서 만들었던
비치지 헤더 파일을 붙여넣기 하면 되겠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잠시 후에 하면 다시 살펴보고 요
기본적으로 지금 멜로디 라고 하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가 지금 배열입니다
정시영 배 원로 이렇게 선언이 되어 있고 이 배열 안에서 음 개표가
이렇게 쭉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gga5 a5 에서 이경제 표가 있는데 이제 우리 학교
종이 땡땡땡 할 때 그 음 제 표 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그래서 이 비치지 헤더 파일에 정의되어 있는 음 제 표를 바탕으로
학교종 의 음악에 관련된 음 제 표 이렇게 쭉 정의했습니다
이 배열은 기본적으로 552
브레 이스 중 가로 문 흑 바탕으로 안에 이렇게 다 쓰게 되어 있습니다

약계 종이의 관련되 음 제 표가 쭉 선언이 되어 있구요
선원 대 있는게 표에서 음 길이를 나타내는 부분 또 하나 선언했습니다
우리가 피해 조부 젤로 가지고 소리를 낼 때는 두 가지가 중요한데
첫번째는 뭐냐면 그 음 객 그 어떤 의미인지 어떤 주파수 지에 대한 내용
그 다음에 또 하나는 해당 주파수를 얼마만큼 소리가 될 건지
그래서 뭐 도라는 음 물 1초 동안 소리를 낼 건지 0.5 초 동안 소리
낼 건지
이 두가지가 중요하죠 그래서 피해 줘 부자 에서는 어떤 주파수의 음을
어떤 죽일 어떤 간격을 갖고 연주 할 것인지에 따라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가 있어요
그래서 앞에서는 어떤 음을 낼 건지를 설정 했구요 앞에 배열은
지금 나오는 노트 2 레이 션 주라고 하는 이 배열은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겁니다 그래서 앞에는 어떤 주파수의 음을 현재는
어떤 길이로 추력 알지 이렇게 선언 한 거죠 그래서 이게
학교종 이에 관련되는 그 음 길이를 나타내는 배열입니다
이렇게 배열을 2개 사용해서 쎄 더 부분에서 이렇게 초기화를 시켜 주는
거죠
세법은 에서 초기화를 시켰기 때문에 학교 종이가 전기가 인가 되자마자
연주가 되게 됩니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포문을 이용해서
2d 스포트를 0부터 25까지
증가시키면서 반복을 하네요 그래서 총 여기서 26번 이 반복이 됩니다
26번 이 반복되면서 뭘 하냐면
2 노트 2 레이 션 줄 아는 값에서 현재 음 개표 0부터 20
옷까지 25번 의 개표를 읽어서 250 을 곱해서 2 레이 션 값을
바꾸고
이 바꾼거 를 톤이라고 하는 함수 에다가 넣어 주게 됩니다
톤 의 두번째 인자를 넣어 주게 되죠 그 다음에 이 멜로디 의 디스
노트라고 하는 0부터 25회 은계 표에 있는 값을 읽어서
멜로디로 에서 그 주파수를 세팅 하게 됩니다 그러면 이 의미
유이 간격을 가지고 8번 핀으로 출력이 되는 거죠
아까 우리의 여기서 이 디지털 핀을 8번으로 로 연결 했잖아요
2 8 범피 내다가 톤 함수가 어떤 전기 값을 내보내게 됩니다
이렇게 내 보내게 되고 이 보낸 것을 바탕으로 이 두 레이 션 값을
바탕으로 적이다 1.30 을 곱해 가지고 이 값을
음계 표 사이의 간격으로 만들어 봅니다 블레이 라는 함수는
아무것도 않고 쉬는 거죠 이음 큐레이션 의 값에 1.0 상 만큼 쉬는
거죠
그리곤 5톤 노토 남순은 톤 함수에서 8번에 지정 했는데 소리를 낸 거
에서 노트 늘 8 해주면
이 8번 핀을 나가는걸 찾아내 소리를 끊어 주게 됩니다
그래서 정리를 하자면
그 줄에 이전 우리가 설정한 배열 값을 읽어서 8번 핑 에다가
소리를 내 주는 거죠 그리고 음계의 감격의 1.3 을 곱해서 그간 만큼
딜레이를 하면서 그 음악을 도중에 끊어 주는 거죠 그래서 결론적으로 이걸
가지고
실행을 시키면 이런 소리가 발생하게 됩니다
간단한 소리를 한번 들어볼게요
지금 보시면 학교종이 음악이 연주되는 걸 들으셨죠
어 이렇게 음악이 연주되는 이유는 지금 여기에 세법 때문에 실행이 한 번
되고 끝난 거죠 그리고 루프 안에서는 그 아무것 하지 않죠
그 전기가 인가 될 때만 학교 종이가 연주되고
프로그램이 종료가 되게 됩니다
지금 방금 전에 품 공부한 코드를 좀 보면은 아 우리가 이제 주의해야 될
코드가 나오는데요
개월이 라고 하는게 나옵니다 멜로디 라고 하는것을 이제 우리는 정수용
배워 를 이렇게 선언을 했는데 이 멜로디가 배 어린이 오는 멜로디 d 에
이렇게 대괄호 로 이렇게 얼굴 다 등 게 있죠
멜로디 d 에 만약에 이게 소 가로 속 a 로 되어있다면 이거는 함수
겠지만 멜로디에 이렇게 대가로 가 되어있다면 이거는
배열입니다 그래서 멜로디 배워 를 이렇게 선언을 했구요 그 배열에
기본적인 값은 인 치조 로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ent 저라는
멜로디 배워 를 지금 하는 선언한 겁니다
이 멜로디 배워 렐 선언된 값은 여기 보시는 것처럼 이 배열을 쓰게 되면
이런 장점을 갖게 되는데요
만약에 우리가 배워 를 쓰지 않고 방금전에 학교종이 땡땡땡 을 연주
한다.면 이 안에 변수를 하나 하나 이렇게 하나씩 인기 져 가 활 당하면서
쭉 선언 해줘야 되죠 그래서 음계 표 만큼 아내인 티저 값을 쪽 선언
해줘야 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배워 를 쓰게 되면 은 욥 애월 선언한 이후에
중괄호 를 열어주고 이 부분에 다가오는게 들어 쭉 써 주면
여기 선언되어 있는 이 다양한 변수를 선언한 것처럼 동시에 선언된 게
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대어 를 사용하면 여러 변수를 사용해야 하는 것을 하나의 건수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쉽게 관리가 가능합니다
쉽게 관료가 가능하면 뭘 할 수 있냐면 반복문 같은걸 이용해서 배워 를
쉽게 주저 칼 수 있게 되는 거죠
이런 배열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여기 보시는 것처럼 변수 영을 써줘야
되구요
그 다음에 변수명 그 다음에 이런 배열 그리고 이 안에
중 가로로 묶여 있는 다양한 값들을 넣어 주게 됩니다
어 이렇게 써 준 배열에서 어떤 값을 접근하려면
이 접근할 때 그 요 뒤에 있는 배열 크기 에 따라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지금 이거는 인티 줘 크기의 멜로디 라는 변수를 3개 연속으로 선언한
수리 줘
배열이 라고 하는 것은 동일한 값이 연속 때 그 로 이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멜로디를 피워 내 보면은 이 멜로디는 세 칸짜리 줘
이 한 칸이 바로 인티 줘 크기를 갖고 있습니다
요인 티저 크기를 갖는 이 영역 세 개가 연속으로 쭉 연결되어 있는 거죠
그래서 쭉 연결되어 있어서 이 맨 처음에 있는것 배열은 맨처음 값을
영어로 초리 하거든요 그래서 여기가 영업을 시작하고 여기가 1
여기가 유일적 합니다 그래서 멜로디 3이라고 이렇게 배열을 성 내주면
새 칸짜리 인 티저 3칸 짤의 대월 이렇게 만들어 지구요
이 만들어진 베어라 멜로디 영과 멜로디 일과 멜로디가 순서대로 이렇게
배치가 되게 됩니다
이렇게 배치돼 있는 부분에 이제 어떤 값을 처음에 초기값 살 당할 때는
이렇게 중 가루를 이용해서 쉽게 할당할 수가 있죠 그래서
멜로디 세 칸을 이렇게 놓고 뒤에 중 가로 123 이라고 써 주면 다시
그림을 그려보면
욕한 세계 자리가 있고
멜로디 1명에 영의 1 같이 차고 요
멜로디 일에 2까지 차게 됩니다
그 다음에 멜로디 그 세번째 칸에 3회 값이 차게 되는 거죠 그래서 요
초 건 첫 번째 값은 어떻게 표현이 되냐면 멜로디
그 멜로디 가루 10 9 영어로 이렇게 표현이 됩니다
그 다음에 여기는 멜로디 가루 열고 일로 p1 되겠죠 일로 이렇게
그 다음에 여기는 멜로디가 로열 고의로 표현이 됩니다
그래서 각각 값이 이렇게 선언을 해주면 배열이 선언되고 메모리가 할당될
면서 아내 123 값이 차 구요
이 값을 엑세스 하려면 은 멜로디 가루 10 구형은 1 값을
멜로디 가루 10구 대가로 열고 e 는 이르니 이 값을
멜로디 가루 10대가 리얼 고인은
3회 값을 읽어 들일 수 있게 됩니다
만약에 멜로디 값이 몇 개인지 모를 경우에는 그냥 대가로 만 이렇게 놓고
콤마를 지금의 쭉 써 주면 됩니다 그러면 두이노 가 알아서 안에
2배 월 값을 할당 해주게 되죠
이렇게 할당 하더라도 첫번째 할 땅 값이 멜로디 영이 되구요
0 0 1 2 3 4
그래서 여기는 이제 4번째 멜로디 가 되겠네요
하지만 실제 위치는 다섯 번째 위치가 되겠죠
배열 값은 읽을 때 첫번째 위치를 영월 기준해서 읽게 되어 있습니다
어 영어로 돼 있고 이제 배 월에 그 마지막 위치는 전체 크기에서 일만큼
뺀 위치가 되겠죠
예 그래서 이렇게 배열이 선언이 되어 있구요 이렇게 배열이 선언되어
있으면 이것들은 반복문을 이용해서 쉽게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포문은 지금 보시는 것 처럼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 동작을 할 때 사용하는
유용한 문장입니다
아두이노 는 씨 뿔 뿔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하는 데요 이 cc 풀
프레 서는 반복 동작을 처리할 때 펌은 화일 문 2 i'll 문
이런 다양한 반복문을 제공을 하고 있고요 이 중에 특히 정해진 횟수만큼
특정 동작을 반복할 때 쓰는 개 바로 폰입니다
퍼머 는 여기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아내 규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 집
치근 어떤 것을 의미한다.면
첫 번째 규칙은 카운터를 사용할 변수를 지정하고 그 변수에 시작 위치를
설정하고 그 다음에 여기 세미콜론 보이시죠
세미콜론 이 두개가 들어있는데 여기 하나 들어 있구요
그 다음에 여기에 또 하나 들어 있습니다 이쪽에 3 믿고 또 하나
들어있는데
첫 번째 세미콜론 앞에 있는게 카운터로 사용할 변수
그 다음에 첫 번째와 두 번째 사이 에 있는 게 그 조건문 입니다
이 폰이 몇 번 반복할 건지를 재산은 조건문 그 다음에 마지막 세미콜론
뒤에 있는게 반복 수행하면서
카운터 값이 변경되는 걸 설정 하는 부분이죠
그래서 반복문 에서는 가운 툴을 사용할 변수를 선언하고
시작이 즉 값을 할당하는 그런 역할을 하구요
반복 조건은 그 계속해서 포먼 을 반복할 건지를 판별합니다
여기서는 디스 노트가 26 보다 작을 경우가 참 이 되구요 그때 이
주위에 있는 이중 가로 중 가루가 계속 반복하게 됩니다
아 반복 조건이 다 끝나면 그 반복 조건이 2 디스 노트가 20 몫보다
짝은 조건이 어겨 지면이 때는 이제 펄스가 되면서 이 브레이스 로 묶여
있는 폼 오니 종료가 되면서 포 머니 끝나게 되어있습니다
폼 오니 이제 기본적으로 실행이 되는 붙이는 이렇게 되있는데요
요게 이제 처음 초기 값이고 이게 이제 조건 식이죠
26 바짝 은 조건으로 디스 노트가
계속 증가하면서 요 문장을 계속 참일 때 반복하는 거죠 욥을 에이스로 중
가로 쌓여있는 요 부분이 계속 반복이 되게 됩니다
그러다가 디스 노트가 20 무엇보다 작은 조건닐 때 즉 이 조건이
거짓일 때 이 펌 오니 더 이상 반복되지 않고 거기로 가서 다음 문장을
실행하게 됩니다
평온이 반복하는 것은 이중 가루가 있는 요 부분 안에 쌓여 있는 코드가
반복이 되는 거구요
계속해서 이 값이 이제 비교하는 값이 이제 계속 변해야 되죠 그래서 이
퍼 본 의 두번째 세미콜론 뒤에 있는 부분이 이 값을 변경 시키는 역할을
해줍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디스 노스 디스 노트 플러스 플러스 에서 dc 노트 값을
정수영 인 디스 노트 값을 하나씩 증가 시키는 거죠 그렇게 하면은 2t
순수 값이 계속 변경 일어날 거고 그 때마다 요 문장이 참 거짓을 가리게
됩니다
참일 경우에 이 폼은 계속 u 해서 작동을 할 거구요
거짓이면 작동을 하지 않게 되겠죠
그 반복 문이 반복 조건이 거짓 할 때까지 계속 반복하게 되고 여기선
디스 노트가 26번 짝을 때까지 니까요 부터 총 26번 이 반복되게
됩니다
아까 그 소리가 나는 이유는 토니 라는 함수 때문입니다 톤은 첫번째는
지털 핀 에다가
그 멜로디 음 주파수와 음 길이를 이렇게 설정해 주면 해당 p 내다가
해당 음 주파수를 갖는 것을 음 길이만큼 재생 하게 해줍니다
노턴 이라고 하는 것은 입힌 번호에 해당하는 부분에 나가는 소리 를 꺼
주는 거죠
노턴 이랑 명령을 이용하면 은 8번 피해 나가는 수를 볼 수가 있습니다
움을 멈춰 버릴 수 있는 거죠 그래서 핀번호 에 따라 섬을 멈추는 걸
가지고 학교종이 땡땡땡 을 확인해봤습니다
계속해서 이 피해서 부조를 이용한 디지털 피아 만들기 예제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이번에는 뭘 할거냐 면 버튼을 누르면 그 버튼에 해당하는
소리까지 생 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 예제를 하기 위해서는 피해 줘 스틱 하나의 버튼 세계 그리고 저항을
3개 추가로 필요로 합니다
지금 보시는 것처럼 화면에 그 버튼을 세 개를 이렇게 쭉 연결을 했구요
이 버튼들은 프로 팅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렇게 조항으로 외부의
연결을 시켜 줬습니다
그리고 이 버튼들은 여기 보시는 것처럼 디지털 핀 2번 3번 4번 에
결선을 했습니다 각각 그리고 피해 줘 스피커는 여기 보시는 것처럼 8번에
닦아 이렇게 벌써 를 냈고 나머지 한쪽 써는 그라운드에 다가 연결
시켰습니다
피해 줘 보지에 플러스 갈 지금 8번에 연결 된 거죠 디지털 핀 의
그리고 이쪽에 오벌 트 전원을 전체 다 이렇게 공급을 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네요 선 전체가 지금 5 볼트 가 흐르게 되는 거죠
지금 이런 식으로 회로 들은 설계를 했구요
이 설계돼 있는 회로 어디에다가 간단한 형태의 코드를 추가로 작성을
했습니다
이 코드는 기본적으로 여기 보시는 그 피 치즈 헤더에 정의 돼 있던 그
아두이노 의 샘플에서 제공하는 피치 헤드의 정의되어 있는 그 상수가
매크로 상습 값을 같아 썼구요
이상수 들은 cd이포 에 각각 3 262 294
330 갑수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아까 방금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본 사이트의 컨텐츠는 명시적으로 공유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공개된 자료를 수집하여 게시하고 있습니다.

저작권, 강의등록, 광고, 제휴등은 "관리자에게 문의"로 메세지 주시면 확인후 답변드립니다.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