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꿀팁 | 브루잉을 정복하자! '브루잉의 물'(이것은 비법공개
본문
※ 영상을 선명하게 보기 안내
- 유튜브 영상에서 오른쪽하단에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
- 팝업목록에서 "품질" 선택하세요.
- 원하는 해상도를 선택해주세요.
※ 모바일에서 Wifi가 아니라면 데이타가 소진될 수 있으니 주의바랍니다.
커피꿀팁님의 커피꿀팁강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15541026179247.jpg](https://dibira.com/data/file/coffee_01/15541026179247.jpg)
아 예
once 물은 커피의 90% 를 차지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합니다
로스팅 이나 추출은 우리가 포인트 컨트롤 가능 하지만 일반 가정집 이나
매장에서는 우리가 물 수치를 컨트롤 하기가 어렵죠 그래서 물에 수치를
알고 못쓴 포인트를 잡고 추출 포인트를 잡으면 가장 큰 변수 하나는
우리가 해결한 것입니다
여기서 물에 경도 바니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dh 와 ppm 으로 나눠
주며 우리는 보통 ppm 단위 수치를 사용하고 크게 소프트웨어와 하드로
나누어 줍니다
0에서 75 ppm 은 소프트웨어 150 에서 300 ppm 을 하드
무대 경도 길은 18 ppm 정도의 며 경도 6월 기준으로 맞으면 연수
높으면 경숙 입니다
우리나라 제품 물들이 보통 삼다수 pu 리 스 드 상 10 에서
50ppm 이며 이 유럽 제품 물드는 보통 볼빅 피지 등 100에서
200 p p
그리고 앱 양은 200 ppm 이 넘습니다
연수 로커 필요 출시 삼미 통과 마우스 필히 올라가고 부드럽지만 플랫한
경향이 있고 경수는 향미 통과
전체적으로 복합성을 띠지만 거칠고 맛은 씁니다
오늘 우리가 사용하는 물은 100ppm 이라고 가정을 한다.면
로스팅 포인트를 미디움으로 합니다 즉 3 미가 화상 커피 보단 단 맛에
중점을 둔 향미 커피로 미듐 로스팅된 커피 입니다
자 부린 툴 선택에 앞서 원주의 정확한 슬레이브 보다 클랩 아 방식의
틀을 사용하여 원두의 뉘앙스를 먼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입자를 가능해 게 바로 추출하는 것과 입자를 굵게 에서 1분에서
3분 동안 우리 추추 이렇게 두가지 형태로 추출을 합니다
스트레스 의 경우 입자의 따라 양으로 조절 하지만 부린 같은 경우 입자의
따라 시간으로 조절합니다
이렇게 비교를 해서 마우스의 가 원고의 뉘앙스를 알고 이원규 에 플레이버
를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툴 여과 식 보 군침 출 씩 밤 술에 툴을
상태를 합니다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