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셔인베스트 | 우리나라원화환율만약세??중국과달리코스피만하락할까??
본문
※ 영상을 선명하게 보기 안내
- 유튜브 영상에서 오른쪽하단에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
- 팝업목록에서 "품질" 선택하세요.
- 원하는 해상도를 선택해주세요.
※ 모바일에서 Wifi가 아니라면 데이타가 소진될 수 있으니 주의바랍니다.
피셔인베스트님의 국내경제강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안녕하세요 pcm step 3 입니다. 자주 질문을 해주시는 내용에서
간단히 좀 답변을 드리려고 하는데요.
바지 뭐 입구는 이런 질문이 많아요 바지는 아무거나 있습니다. 근데 꼭
뭔가 반바지를 입거나 수면바지 꼭 입어야 될 것 같아서 언젠가는 제가 어
공개를 해 드릴 거구요.
댓글에 가끔 피곤해 보인다 이런 너 데 끓인도 있는데요.
잠 푹자고 나서 아침에 찍었는데 어떻게 표현해 보인다 이런 말씀도
있으셔서 원래 얼굴이 좀 피곤해 보이는 걸로 뭐 아 잡히고 나 표현할
때도 있구나 뭐 여튼 어 자 그리고 쇼파에 앉고 있냐 이 질문도 많이
하시는데
어 점에 쇼파에 앉아서 무 찍어 봤는데 이제 상당히 건방져 보이더라구요.
예 그래서 슈퍼에 않았구요. 그리고 왜 카메라를 이렇게 정면으로 쳐다보지
않냐 이런 질문도 있으신데 카메라 울렁증이 있어서 카메라를 정확하게 보면
뭔가 잘 말이 안 나옵니다. 그래서 다른 쪽을 보고 써 놓은거 보고 이렇게
방송하는 게 훨씬 나을 거 같아서 이렇게 했습니다.
우리나라 원화가 약세로 가는 이 부분에 대해서 질문을 많이 주셔서 이
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 질문 중에 위 원하는 강세로
가는데 원 달러는 약세로 가능 이 부분에 대해서 먼저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원하는 위안화의 프록시 통화 라고 불립니다. 프록시는 대리를
하는 말이구요.
말그대로 프록시 통화 란 대리 통화 라는 말입니다.
자 이렇게 부르게 된 이유를 좀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중국에 비해서 글로벌 환 투자자들이 투자를 할 때 자금의
유출이 b 중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용이합니다.
그리고 또한 우리나라는 중국의 수출 전도 얻었기 때문에 이 경상수지에
흐름도 유사하여 서 환율의 움직임도 장기적으로 유사합니다. 이에 따라 왜
인들은 위한 아에 투자할 때 우리나라 원아 를 함께 투자하여 서 위한
알을 투자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었고 이 때문에 우리나라가 위한 아에
프록시 통화가 된 것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푸른색의 원 달러 환율 과 붉은색의 위한 아 달러 환율이
2010년 이후 장기적으로 유사한 흐름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죠.
그러나 알아 주실 것이 있습니다. 그림을 보시면 위안화 환율 과의 원 달러
환율이 단기 까지 적힌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환율의 경우 단순히 환 투자자들의 자금의 유출 배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상수지 국제관계 정치 수급 등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자 우리가 기억하고 넘어가야 하는 것은 위안화 환율과 원화 환율이
장기적으로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 것은 맞지만 1년이하 월드 아님 5주
단위로 쪼개서 보면 위안화 환율과 원화 환율은 전혀
다른 움직임을 보였다는 사실입니다. 다음 내용으로 넘어가겠습니다.
투자자들이 원 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2 원화 약세에 구간을 두려워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주 시장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이해가 되시는데요. 푸른색이 원 달러 환율이 고 붉은색 선이
우리나라 주식시장 지수입니다. 그림의 환율과 주식시장의 6개월 이상의
중장기적인 흐름을 보시면 원달러 환율과 주식시장이 반대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1997년 이나 2008년 처럼 환율이 급격히 변동 할수록 주식과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이 원 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을
우려하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지난 2011년부터 2017년까지는 화 10 과 주 시장에
연관성이 크지 않은 구간도 있습니다.
또한 그림처럼 6개월 이상의 중장기적인 흐름은 주식과 원 달러 환율이 반
빌의 가능성이 높지만 그리고 1개월 단위 그리고 주 단위로 끊어서 보면
환율과 주 시장에 움직이면 전혀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위로 지금 당장 단기적으로 원 달러 환율이 오른다고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원 달러 환율의 장기적인 방향성을 확실해질 때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죠.. 자 그렇다면 원 달러 환율 과 주식 시장은 왜
중장기적으로 반비례 하는 것일까요??
그림처럼 원 달러 환율 과 주식시장이 반비례 하는 이유는 환차익을 노리는
외인들의 수급 때문입니다.
그림의 2009년 처럼 원 달러 환율이 급격히 하락하는 원화 강세에
구간에서는 환차익을 노린 외인들의 자금이 유입됩니다. 외인들의 자금이 출
시장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주가가 오르는 것이죠..
반대로 지난 2008년 처럼 원 달러 환율이 급등하는 2 원화 약세에
구간에서는 투자 하던 외인들이 환 손실을 입게 되므로 자금을 뺍니다. 이에
따라 주가도 허락하게 되는 것입니다.
결국 원 달러 환율 과 주식 시장의 움직임이 중장기적으로 반비례 하는
이유는 환율에 따라 왜 인들의 자금이 유출입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현재의 상황은 좀 다릅니다. 현재 상황은 원 달러 환율이 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원 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구간에서 외인들이 주식을
매도하고 자금을 빼 므로 주식이 떨어져야 되겠죠.
그런데 외인들의 수급을 보시면 한달 내내 외인들의 자금은 유입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 이처럼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원 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주 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죠 그러나 앞서 설명드린대로 단기적으로 원화 환율
과 주식 시장의 움직임은 완전히 다릅니다.
결국 지금 이렇게 외인들의 수급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도 주식 시장이
환율에 따라 하락할 지 여부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원 달러 환율 상승이
지속될 수 있을지 여부가 더 중요하기 때문 인 거죠.
예를 들어 미국의 환율 조작 꼭 지정과 같은 정치적인 이슈가 발생하면 그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환율의 방향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그 밖의
영향이 낮은 이슈들은 일시적으로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큰 흐름까지
변화시키지는 못합니다.
현재 이슈들을 한번 살펴볼까요? 첫번째 자 4월 8일 노르웨이 국부펀드 가
신흥국 10개국의 채권을 매각하기로 결정 하였습니다.
노르웨이에 펀드의 우리나라 채권 보유 물량은 63억 달러 약 7.5 조원
입니다.
이렇게 큰 금액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아무래도 일시적으로 환율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7.5 조원 이라는 금액의 너무 놀라실 필요는 없습니다.
해당 금액은 9 고체 전체 자네에게 1% 미만의 해당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으나 이것을 원인으로 원화 약세가 지속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두번째로 기업들의 베라 앙금이 외국으로 송금 되는게 3월 4월에
집중된다는 것입니다.
이전에 설명드린 적이 있는데요. 경상수지는 국가가 달러 를 얼마나 벌어들여
있는가를 알수있는 지표입니다.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 폭이 증가하면 외국인들의 투자도 더 많이
들어오겠죠.
반대로 경상수지가 감소해서 우리나라가 달러 를 적게 벌어 들인다
그러면 외국인들은 투자도 감소하게 되는 겁니다.
자의 경상수지는 이 무역의 상품수지 그리고 서비스수지 보는 수직 영상이
전 수지가 있는데 아직 머리가 아프 줘 보는 수지를 설명 드리려고 한
것이니까? 일단 그 입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자 그림에서 보면 자 3 4월은 기업들의 배당 시즈니 고요 기업이
배당금을 지급하면 외국인 투자자도 배당금을 받아 갑니다.
이때 배당금은 대부분 봉급으로 송금 됩니다.
이러한 배장 수익은 경상수지 항목 중에서 본 온 소득 수지 항목입니다.
외국인들이 배당금을 받아 가면 돈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본원 소득 수지가
- 가 되는 것이죠..
그림의 파란색 이 보는 소득 수지 인데요.
3월 4월에 집중적으로 마이너스 폭이 커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자바로 외국인들이 배당금을 생겨 가기 때문이고요
그리고 최근 우리나라 주요 수출 품목인 반도체 가격이 하락한
상황입니다. 이것은 경상수지 항목 중에 무역수지 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인데요.
자 여기에 추가로 살펴본 대로 4월 보는 수지도 마이너스가 되는 구간이
기 때문에 경상수지가 감소에 가능성을 높게 볼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자
이렇게 단기적인 원인이 작용한 것입니다.
자 그럼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해드리겠습니다. 최근 중국의 위안화 강세를
보이고 여타 신흥국 뜰 통화도 강세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원하는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위안화 환율 과 원화 환율은 단기적으로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원 달러 환율 과 우리나라 주 시장도 반비례 관계를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지금 단순히 원 달러 환율이 단기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우리나라 주식 시장이 반드시 하락한다. 고 우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수급 쌍으로 만 봐도 지금은 원 달러 환율이 소폭 강세로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들의 주 시 장 매수세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뭐 이것만
봐도 단기적으로 흐름이 다르다는것을 알 수 있구요.
또한 최근 원화 약세 이유는 노르웨이의 고 펀드의 우리나라 채권 매각
결정 과 반도체 및 4월 보는 소득수준이 적자 시즌에 따라 경상수지 의
감소 가능성이 겹친 것으로 판단됩니다. 자 결국 원화 약세는 이렇게
단기적인 이슈 때문으로 판단되며 장기적으로 원화가 약세로 진행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고 있습니다.
자 이렇게 장기적인 원화 약세가 아니라면 주식 시장에 영향이 있더라도
일시적 일 가능성이 크겠죠. 또는 아예 주식 시장에 영향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다른 경제지표들이 발표될 때마다 환율 과 관련된 사항은 추가적으로 설명을
드리겠지만 지금까지 조사된 내용만으로는 원화 약세는 모이 시적이고 주식
시장의 하락도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오늘 영상도 마음에
드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꼭 눌러주시고 지속적으로 시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