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 | 지옥에서 온 GIT : 원리 - git add
본문
※ 영상을 선명하게 보기 안내
- 유튜브 영상에서 오른쪽하단에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
- 팝업목록에서 "품질" 선택하세요.
- 원하는 해상도를 선택해주세요.
※ 모바일에서 Wifi가 아니라면 데이타가 소진될 수 있으니 주의바랍니다.
생활코딩님의 Git강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자 그럼 지금부터 음 우리가 실습을 좀 해볼 건데요
자 일단 지금까지 우리가 작업을 했던 키디 fta 칠하는 저 디렉터리는
2 구요
그 위로 그 상위 디렉토리로 들어가서 새로운 프로젝트 폴더를 하나 또
만들어 봅시다
mkdir kft h2 라고 하겠습니다
그래서 두 번 그 왜냐하면 분석하는 작업은 별도의
저장소에 사는게 좋을것 같거든요 자 그리고 요거를 우리가 그저 장소를
초기화 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키 이니 타면 되죠 자기 니스 란 어떤 일이 생기나요
이점 킷이 라는 디렉토리가 생깁니다 그리고 저 디렉토리 안으로
들어가볼게요
그럼 보시는 것처럼 여러가지 파일들이 있는데 이 각각의 파일들에 역할을
알아가는 것이 제가 생각하기에
기세 내부를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자 그래서 5를 직접 우리가 라고 하는건 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티스토리 라는 프로그램을 만든 거예요
자 여기에 서 점 깃이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에서
d 스토리 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나올겁니다
예 그리고 뒤에 있는 8805 라는 저 값을 사용하는 거예요
자 화면을 2개 띄었고 요 여기 보시는 것처럼 여기 8805 해당되는 자
로컬 호스트 8806 때 있잖아요
요렇게 들어오시면 이렇게 생긴 웹사이트가 올릴겁니다
그러면 이 웹사이트에 있는 요 각각의 파일들이 아까 점 p 디렉토리에
있었던 파일들 전체 에어
밖에 없죠 예 물론 지금 처음이기 때문에 많아 보이지만 별로 없는 거예요
자 그럼 이제 가 실행되고 있는 동안은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여러분이 뭐 어떤 명령을 입력할 수가 없단 말이에요
그래서 새로운 그 터미널을 하나더 여 셔서 거기에서 이제 진행을 하시고
요건은 끄시면 안됩니다 이걸 끄면 프로그램이 꺼져 너 만약에 기 스토리를
끝내고 싶다 그럼 여기에서 컨트롤 알파벳 c 를 누르시면 이렇게 꺼집니다
다 시키고 싶으면 티스토리 이렇게 하시면 되요
자 저는 새로운 터미널을 하나더 띄었고 그 새로운 터미널에서 명령을
입력하겠습니다
자 여기에서
제일 먼저 파일에 추가해 보죠
f1 점 txt
그리고 내용은 a 라고 하겠습니다 저장 했구요
그 다음에 리로드를 해보면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예 왜냐하면 파일을 추가한 거에 대해서는 깃이
아무런
그 관여하지 않기 때문이죠 자 그럼 이상태에서
우리가 f1 점 텍스트 라는 파일을 컴퓨터 알람 뭘 해야 되나요
okada f1 점 텍스트를 해야 되죠
엔터
그럼 이 상태가 되면 내부적으로 어떻게 되는가
한번 볼까요
보시는 것처럼 두개의 파일이 밝혔습니다
하나님이 인덱스 라는 파일을 바뀌었고 하나는 오브젝 치유 라는 디렉토리에
있는 78번 디렉토리에 있는 981 구라고 하는 파일이 추가된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자금 그 중에서 오브젝 치유 라고 하는 저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이
무엇인가를 한번 눌러 볼까요
잘 눌러 보니까 저 액츠 라는 디렉토리 안에 있는 것은 우리가 작성한
f1 점 텍스트 라는 파일의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그 파일의 이름은
여기 fan 점 텍스트 라고 적혀 있습니다만 이 내용은 실제로 이 파일의
적혀 있는 내용이 아니고 익히 스토리가 여러분의 편의성을 위해서 보여주는
정보일 뿐 이 a 라는 내용이 담겨 있는 파일의 이름은
여기에 적혀있지 않습니다
그러면 어디에 적혀 있을 까요
바로 인덱스 라는 파일에 적혀 있습니다
인덱스를 열어보면 보시는 것처럼 f1 점 텍스트 라는 파일은
7 8 9 8 1 9 로 시작하는 어떠한 정보에 담겨 있다 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무엇이냐 하면 아까 우리가 봤던
78번 디렉토리 그 첫번째 두고 짜 줘
그리고 9 8 1 9 로 시작해서 85로 끝나는 이 파일입니다
여기도 보면 두 세 번째 자리가 구파 리고 끝에는 85로 끝나죠
즉 요렇게 생긴 어떠한 아이디는
오브젝트 디렉토리에 있는 체 18 고 8 1 9 라고 하는 파일을
가리키는 겁니다
그래서 그 내용이 뭐예요 이렇게 a 인 것이죠 즉 파일의 이름은 인덱스의
남겨 있고 파일의 내용은 오브젝트에 남겨 있습니다
그리고 오브젝트 라는 저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들을 전 이제부터 뭐라고
부를 거냐면 오브젝트 또는 한국어로 객체 라고 부르고
아셨죠 오브젝트 란 말은 객체 저 파일을 가리키는 거에요 실제로는
자 그리고 다시 인덱스로 돌아와서 보시면
요거를 여러분이 요 정보를 여러 보기 위해서
이걸 직접 클릭하는 귀찮은 일이니까 여기서 직접 클릭하면 바로 밑에
이렇게 보입니다 그럼 이제 여러분이 따라가면서 정보를 분석하기 가 좀
편하겠죠
자 그럼 이번에는 파일을 또 하나 만들어보죠
빔
f 2.2 txt 라고 하고 여기에다가 제트 라고 적겠습니다
그리고 저장 했어요 그 다음에 did f2 점 텍스트 라고 했을 때
d 스토리 상에서는 어떤 변화가 생기는가 를 봅시다
리로드 해보니까 두개의 파일이 달라졌네요
자 우선 여기 있는 오브젝트 파일을 클릭하니까
제트 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덱스를 로 보니까 보시는 것처럼 f2 점 텍스트의 내용은 이
것입니다 라고 적혀 있습니다
요 를 클릭해보면 얘는 제트 고
f1 점 텍스트를 클릭해보면 얘는 a 조
즉 각각의 파일명과
그 파일명 에 해당되는 정보가 인덱스 라는 곳에 적혀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자 그러면 조금 방법을 달리해서
제가
카피 cpf 1.2 텍스트를
f3 점 텍스트로 복사를 해 보겠습니다 그럼 f1 점 텍스트 of 3.2
텍스트가 같은 내용을 같겠죠
ddf
3.2 텍스트 그리고 리로드를 해보겠습니다 자 이렇게 리로드를 했더니
바뀐 파일은 두 개인데 그 중에 7898 이라는 저 파일은
아까도 있었던 파일이 에요 그래서 얘가 저스트 나오게 된 것은 뭐 새로
추가된 것이 아니라 뭐 시간이나 이런것들 바뀌었을 겁니다 자 클릭해
보니까 어때요
a 라고 적혀있네요
그리고 인덱스를 클릭했더니 유기 중요한 부분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f1 점 텍스트 드는 7898 이구요
f 2.2 텍스트는 b 680 인데
f3 점 텍스트는 7 8 9 8입니다
즉 flex 투어 f3 점 텍스트가 같은 오브젝트를 가리키고 있다 라는
겁니다
상당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자기 슨 어떤 파일을
저장할때
파일의 이름이 달라도 파일의 내용이 같으면 같은 오브젝트 파일을 가르친다
라는 굉장히 중요한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무리 많은 파일이 있다고 하더라도 파일이
예를 들면 뭐 만개가 있어요
근데 그 망 개의 파일이 각각 10기가 시계 아주 큰 파 입양 하더라도
그 내용이 같다면
그만 개의 파일은
예를 들면 인덱스의 는 각각의 파일명만 적혀있고
만개의 파일이 똑같은 5 오브젝트 파일을 가르치기 때문에
어 그런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어마어마한 중복을 제거한 달하는 것이
키세 대해서 여러분이 알고 있어야 될 내부 메카니즘에
첫 번째입니다
자 그러면 킷은
어떻게 내용이 같으면 파일의 이름이 같을 까요
그리고 여러분이 처럼 똑같이 실습을 지냄 오셨다면
여러분이 만든 파일의 내용이 a 라면 그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오브젝트에
이름도 7 팔고 8
실제 파일 상으로는 78번 78 디렉토리에 9 8 로 시작하는 파일명이
담겨 있게 될 겁니다
내용이 같다면 제가 작성한 것이 건 여러분이 작성한 것이 거니 세상에
있는 누가 작성한 것이건 간에 반드시 이름이 7 팔고 8 이 된다는
것이죠 자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라는 거에 대해서는 다음 영상에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