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 | 지옥에서 온 GIT : 원리 - objects 파일명의 원리
본문
※ 영상을 선명하게 보기 안내
- 유튜브 영상에서 오른쪽하단에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
- 팝업목록에서 "품질" 선택하세요.
- 원하는 해상도를 선택해주세요.
※ 모바일에서 Wifi가 아니라면 데이타가 소진될 수 있으니 주의바랍니다.
생활코딩님의 Git강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자 이번 시간에는 기세 중요한 원리 중의 하나인
어 내용 내용이 같으면 파일의 이름이 같다
즉 내용을 기반으로 해서 파일의 이름이 결정되는
그 배 캉 이즈미 무엇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자 구글에서
sha-1 온라인 이라고 한번 쳐보세요
그리고 저는 걸 그렇게 해서 나오는 첫번째 사이트 한번 들어가 보겠습니다
자 이렇게 생겼는데요 이 사이트에서 제가 여기에다가 하희라 고쳐 볼게요
여러분도 한번 쳐보세요
그리고 회 c 를 눌러보면 ce 로 시작해서 42 로 끝나는 어떤 정보를
만들어 줄 겁니다
그 다음에 헬로 라고 하고 해쉬 를 누르면
분명히 여러분 누가 제가 똑같은 정보를 얻게 될 거에요
즉 헬로우 라고 하는 정보는
회 c 라고 하는 어떤 메커니즘을 통과하면
a 로 시작해서 4d 로 끝나는 어떠한 일정한 길이의 텍스트를 얻어낼 수
있다라는 겁니다
즉 깃은 우리가 저장한 파일의 내용을
sha1 이라고 하는 헬시 알고리즘을 통과시켜서
그 파일의 이름을 도출한 다음에 이 파일의 이름
이 정보 짜 나요 sha-1 을 통과해서 만들어진 이 해쉬 값이 라고
하는 정보에서
두 글자를 떼서 오브젝트 디렉토리 밑에다가
aa 라는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리고 그 밑에 f4 로 시작해서 4d 로
끝나는 파일을 만들어서 그 안에다가 헬로우 라고 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죠 자 그렇게 되면 텔로 라고 하는 정보는 반드시
aa 디렉토리 밑에 fa 라는 파일 로 시작하는 파일에 저장이 된다 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기술 내부적으로 sha1 을 쓰지만
실제로는 이 헬로 라는 정보만 딱 저장되지 않고 몇 가지 부가적인
정보들이 추가가 되기 때문에 최종적인 해쉬 값이 다를 지언정 백한 이
주문 이렇다는 겁니다
바로 그러한 이유로 인해서 우리가 어떤 파일에 대해서 did 를 하면
킷은 아마도 이렇게 동작하지 않을 까요 제가 소스코드를 직접 본 건
아니니까 짐작해 보면 이렇습니다
기대 들을 하면 깃은
그 우리가 애드 한 파일의 내용을 봅니다
그리고 그 파일의 내용에 a 라고 적혀있으면 이에 이라고 하는 정보와
몇가지 그 부가적인 정보들을 추가 해서 그것을 압축합니다
예 그리고 가 압축한 결과를 sha1 이라고 하는 방법으로
회 씨를 통과시켜서 나오는 값이 있을 거 아니에요
그 값에 해당되는
디렉토리와 파일을 오브젝트 라는 디렉토리 안에 만들고 그 안에
ea 라고 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죠
그리고 인덱스 라는 파일에
우리가 지금 만든 파일의 이름 예를 들면 fin 점 텍스트는
이러한
fem 텍스트의 내용은 이것이다 라고 이렇게 적어주면
이 작업이 끝나는 겁니다
위까지 하겠습니다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