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 WEB1 - 8.통계에 기반한 학습 > HTML

생활코딩 | WEB1 - 8.통계에 기반한 학습

본문

※ 영상을 선명하게 보기 안내
  1. 유튜브 영상에서 오른쪽하단에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
  2. 팝업목록에서 "품질" 선택하세요.
  3. 원하는 해상도를 선택해주세요.
※ 모바일에서 Wifi가 아니라면 데이타가 소진될 수 있으니 주의바랍니다.
생활코딩님의 HTML강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15450308266948.jpg

 이번 시간에는 통계를 기반으로 해서 공부하는 방법에 대한 얘기를 좀 해볼

겁니다 자
html 에는 현재 어제 최신 버전에서 약 150 께 이상의 태그가
존재합니다
그럼 여러분이 그 150개 태그를 다 외워야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앞에서 우리가 살펴봤다 혁명적 변화로 인해서
여러분이 태그가 무엇인지 알고 있으면 사실은 여러분은 모든 태그를 다
알고 있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왜냐
1분이면 찾을 수 있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이 태그를 하나도 모르고 있으면 너무 불편해요
그리고 어떤 태그 들은 쪼끔 지식이 있어야 지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이 좀
있거든요 그래서 여러분들에게 통계를 좀 보여 드리면서 여러분이 어떤
방향으로 공부 하셔야 될 지를 스스로 결정하실 수 있도록 좀 말씀을 좀
드려보겠습니다 다시 말해서
어 기본적으로 및 천 으로서 가지고 있을만한 태그가 무엇인가를 스스로
판단하실 수 있게 하기 위한 수업이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자 구글에서
전 세계에 있는 수많은 웹 페이지를 분석합니다
그중에서 어 중요한 통계 들을 예전에 공개한 적이 있었는데 안타깝게도
지금 사라졌어요 그 페이지가
그래서 그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 어 내 용을 보기좋게 잘 정리정돈 안
사이트가 있어요 어드벤스 웹 펭 킹닷컴 이란 사이트를 찾았거든요
이 사이트에 있는 내용을 한번 쓱 봅시다 자 여기 보면 그래프가 있는데요
자료 그래프 그래프 는 무엇을 나타낸 야 면 전 세계에 있는 수많은 웹
페이지들이
몇가지 종류의 태그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통계로 보여줍니다
이 통계를 봤을 때는
약수물 5개의 서술 6개 정도의 태그를 가지고 있는 꽤 웹페이지가 가장
많다는 뜻입니다
우리 지금 태그 몇 개 알고 있나요 스트롱 알고 있죠
유 태그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 h1 태그를 배웠지만
2h 태그는 또 다지 예요 왜냐 하나를 배우면 6개를 않거든요
h1 부터 식스 까지 있죠 그럼 여러분은
8개의 태그를 알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웹 이 세상에 처음 태어났을
때는 태그가 몇 개가 있었을까요
18개 정도가 있었습니다 그 중에 상당히 많은 태그가 오늘날은 사용되지
않아요
여러분들 이미 충분히 아주 많은걸 공부한 상태입니다
자 그리고 음 그래서 여기 있는 요 내용에 따르면 여러분 26 개 정도
알고 있으면 평균 이상 간단 얘기겠죠
자 그럼 밑에 있는 이건 뭐냐면 여러 태그 들이 웹페이지에 사용되는
랭킹을 보여줍니다
그중에 1등은 헤드 태그 에요 테 스타 라는 뜻이죠
근데 우리 수업의 어떤 방향성을 때문에 헤드 태그 부터 배우지 않았습니다
우리 뒤에서 헤드 태그 배울 거예요 자 그리고 우리가 배웠던 태그 들은
또 어디에 있나요
여기 쭉 보니까 h1 태그가 55.8% 빈도수를 가지고 있네요
어 다른 태그 들에 비해서 뭐 랭킹이 높진 않지만 예
html 태그가 약 150개 정도 된다 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이 정도만
태도 상당히 유명한 스타라고 할 수가 있죠
그래도 더 빈도수가 높은 친구들이 많이 있긴 하네요
그리고 스트롱 태그 같은 경우는 그 밑에 있고 우리가 배웠던 태그 중에
유태 그 같은 경우는 랭킹 안에 없습니다
잊으세요 중요하지 않습니다 자 이렇게 해서 이번 시간에 얘기는 이정도로
마무리 하면 됩니다
예 네 이제 그 재밌는 얘기
예 재미없을 수도 있지만 예 1 해드리고 마무리 하려구요
그 제가 최근에 이제 중국어 공부를 시작했거든요
제가 준거 공부를 시작하면서 제일 먼저 했던 게 검색엔진에서
어 이렇게 검색한 거였어요
프리퀀시 t
오브 프리퀀시 오븐은 빈 도스 라는 얘기 입니다
차 이미지 워드 스 라고 검색해 보니까
어 이런 검색 결과가 나왔습니다
굉장히 저도 이미 있는 검색 결과 였어요
어떤분께서 감사하게 이렇게 분석해 놓으셨더라구요
중국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은 단어가 뭘까요
적자 입니다
한국어에서 화학적 과학적 프로그래밍 적이라고 할 때 쓰는 적자 입니다
영어로는
고부 라는 뜻이 있대요 예
그런데 이 적자 혼자서 랭킹을 보면 4% 를 씁니다
웹 페이지가 있으면 그 중에 4% 가 적자 라는 뜻이에요
2등은 1일자 한데 그 둘을 합치면
보시는 것처럼 5.6% 가 됩니다
그리고 여기 있는 거 보시면 10% 의 빈도 수는 불과 여섯 개의 단어가
자제하고 있다는 충격적인 결과를 보여줍니다
자 그래서 여기 있는 이 적자 있죠 이 적자가 갖고 있는 빈도 수와
자 밑에 첫 번째 그 차가 있을 거 아니에요 랭킹이 그 글자의 빈도수를
비유적으로 변해 보면 참 번째 랭킹에 해당되는 단어가
2m 의 키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저기 있는 저 적잖은 예 세계에서 10번째로 큰 빌딩의 높이와 같습니다
그리고 8천 번째에 해당되는
단어 까 있어요 예 그 단어와
예 저기 있는 저 적자에 빈도수를 비유적으로 표현해 보면 8천 번째
단어가
2m 짜리 키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적잖은
지구의
지름 보다 더 큽니다
지금 지구의 찌름 보다 3000 키로 가져 3천 km 정도가 더 긴
길이가 나옵니다
제가 하고 싶은 얘기는 뒤에 있는 것이 더 어렵고 복잡하고 대단해
보이겠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앞에서 배우는 것들을 합성해서 결국 뒤에 있는 것들이 만들어집니다 뒤에
있는 것은 어떠한 특수한 경우에는 편리하지만
응용 하기가 쉽지 않아요 하지마 폐 있는 것들은
앞에 있는 것들을 응용하면 수많은 것들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뒤에 있는 것은 편리하지만 앞에 있는 것은 어떠한 창조성의 원천 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여러분 어떤 공부하실 때 항상 통계를 기반으로 해서 무엇을 공부하실 깔
판단 하셨으면 좋겠고
그리고 처음 시작할 때 자기가 가야 될 끼리 멀다고 해서 의기소침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다 는 얘기를 하고 싶었어요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5건 3 페이지

본 사이트의 컨텐츠는 명시적으로 공유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공개된 자료를 수집하여 게시하고 있습니다.

저작권, 강의등록, 광고, 제휴등은 "관리자에게 문의"로 메세지 주시면 확인후 답변드립니다.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