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인성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 jQuery 입문 3판 6강 - 불 자료형 > javascript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강의 리스트

윤인성 | 모던 웹을 위한 JavaScript + jQuery 입문 3판 6강 - 불 자료형

본문

※ 영상을 선명하게 보기 안내
  1. 유튜브 영상에서 오른쪽하단에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
  2. 팝업목록에서 "품질" 선택하세요.
  3. 원하는 해상도를 선택해주세요.
※ 모바일에서 Wifi가 아니라면 데이타가 소진될 수 있으니 주의바랍니다.
윤인성님의 javascript강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15444120158227.jpg

 안녕하세요 모던 웹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제이쿼리 임원 6강 되겠고요

오늘 강의에서 1 39 페이지에 있는 2.5 절 불 자료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쨌거나 진행하기 전에 불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하도록 하겠는데요
불이 나는 것을
굉장히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합니다
제가 그냥 기본적으로 생각나는 것만 에도 지금 화면에 보이는 5가지
인데요
이제 출판사 마다 음 다르게 교정을 해 주시더라구요
위치 복수나 이런 쪽은 아예 불리언 으로 가져주고
처음에 한빛미디어 에서 책을 썼을 땐 제가 불리언 이라고 써 가지고 분류
안으로 들어갔는데 이 판에 낼 때 갑자기 이제 국어사전에 불륜 이라는
말은 없다
얘도 불이라고 표기를 하고 얘도 불이라고 표현을 하고 발음 기호도 불러
같기 때문에 모두 다 블루 통일을 한다. 그랬는데 또 다른 담당자 분은
다시 부활 했으니까 불리언 으로 쓴다
요런식으로 다양하게 계속 이야기를 하시 더라구요 그래서 사실
용어를 정의하는 게 개발자 입장에서 굉장히 중요하긴 한데 m
모두 같은 것이라고 생각을 하고 다른 개발자가 뭐 불린 이라고 쓰거나
불리언 이라고 쓰거나 뭐 불이라고 쓰거나 어떻게 쓰거나 뭐 사실 딴지를
거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은데 m
딴지 같은 것을 안 걸고 모두 이해를 해서 받아 드리면 좋겠습니다
어쨌거나 우리 책에서는 불이 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뭐 어쨌거나 일단 불의 정의는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그리고 생성 방법은 그냥 트로 라고 입력을 하거나
펄스 라고 입력을 해주시면 되구요 우리가 뭐 문자를 같은 경우에는 모한
안녕 안녕 아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라던지 굉장히 무안하게 만들 수 있어요 컴퓨터가 허용하는 데에서 그러니까
정확하게는
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허용하는 1 그리고 사실 자바스크립트는 웹브라우저
마다 그 구현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웹브라우저의 있는 구현체 가
허용하는 한 거의 무한에 가까운 값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숫자도 뭐
소소 정도 계속 내려가고 이러다 보면 거의 무한한 수준의 값을 만들어 낼
수 있는데요
불이라는 것은 딱 2개밖에 없다 트로 와 볼 수밖에 없다 라고 기억을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참고적으로 일부 프로그래밍 언어는 앞에 있는 트와 펄스를 대문자로 써야
지불로 인식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자바스크립트는 소문자로 써야 인식을 한다.는 것도 기억을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근데 사실 이렇게 대놓고 트루아 펄스 로 에서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불을 만들어 내는 방법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는데요
불을 만드는 방법 그러니까 다른 비교를 통해서 거기에 참과 거짓을 만들어
낼 때는 우리가 비교 연산자 라는 것을 사용하게 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비교 연산자는 표 2 다시 7에 나와있는데요
뭐 기본적인 연산 자인 된 이후에 일지 연산자 까지 합쳐서 그렇게 8가지
가 자바스크립트에서 불을 만드는 연산자 입니다
왼쪽이 크다 왼쪽의 크거나 같다 오른쪽에 크거나 가 땀 왼쪽에 크다
오른쪽이 크다
같다
다르다 되겠는데요
뭐 10과
쩌 번에 일단 rt 키 드랙을 쓸께요 52 와
273 을 비교를 한다.고 하면 각각의 값에 참과 거짓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나 오셨다면 모두 이해 하실 수 있을 거예요
왼쪽이 크거나 같지 않으니까 얘는 벌 수가 될 거고
얘는 맞으니까 트로 가 될 꺾고 왼쪽이 크다
거짓이 니까 펄스 오른쪽이 크다 참 이니까 트로
같다 놀고있네 컬 쓰 다 르 다 다르니까 당연히 트루 점
그래서 상콤하게 출력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복사를 해서
요렇게 출력을 해 보도록 할게요 그래서 보시게 되면 은 우리가 지난번에
문자를 연결 연산자 를 배워 점
사실 문자열과 문자를 연결하게 되는 건데 이렇게 사용을 해 주시게 되면
앞에 있는 녀석이 문자의 리고
뒤에 있는 녀석이 숫자 이지만 실행을 했을 때 뒤에 있는 녀석이 문자열로
변환 되서 문제를 덧셈 이 일어나서 출력하게 됩니다
오자룡 변환과 관련된 내용은 이후에 다시 설명을 하도록 할게 염
그래서 저장을 하고 실행을 해보시면 펄스 스스로 펄 스 트로 펄스 쏘 가
출력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비교 연산자 같은 경우에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굉장히 많이 쓰이는
쓰는 그런 연산자 이기 때문에 그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보셔도
크게 무리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비교 연산자는 숫자 에만 적용할 수 있는 건 아니고
문자열 해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가 와 나 를 크기 비교를 한다.고 하면
사전 순으로 앞에 이 쓸수록 작은 값입니다
그래서 요걸 실행을 하게 되면
펄스를 출력을 하게 됩니다 각 앞에 있으니까 작은 값이 되고 작은 값과
큼 갓을 비교했을 때 앞의 것이 크다 그러니까 거짓이 나오게 되는 거고요
사실은 뭐 문자열 에픽 처럼 비교 연산자를 직접 적용하는 경우 거의 많지
않습니다
어쨌거나 같다 다르니까 당연히 벌수 가 나올 거고
다르다 같은 다르니까 트루 가 나오게 점
그래서 요런 식으로 숫자와 문자열 해도
비교 연산자를 모두 적용을 할 수 있다라고 기억을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자 어쨌거나 지금까지 알아본 게 불이라는 자룡 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트루아 펄스를 그대로 입력을 하거나 비교 연산자를 사용 하시면 불이라는
자 룡 이 생성됩니다
그럼 이제 이렇게 생성한 불에 적용할 수 있는 처리를 알아보도록
하겠는데요
가장 기본적으로 불에 적용할 수 있는 처리는
42 페이지에 나오는 표이다 18의 논리 연산자 되겠습니다
논리 연산자는 3개인데 용 논리 부정 연산자 논리 굼 연산자 그리고
논리합 연산자 되겟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영어로는 요 논리 부정 연산자 를 나시 라고 표현을
하게 되구요
엔드 가 두 개 있는 논리 국내 연산자는 엔드 그리고
제가 일본어 키보드 라 한국어 키보드에서 정확하게 모르겠는데 역술 4시
기호와 가치 있는 쉬프트를 누르고 역시 슬래시 기호를 누르면 처지는 이
녀석을 우리가
우리 라고 부르게 됩니다 사실 정확하게는 앞쪽에
로즈 커리 라는 논리 라는 글자가 붙어야 합니다
그냥 & 연산자 하나만 쓰고 좀 역술 씨와 함께 있는 저 월을 한
번만 쓰는 빛이 연산자가 있기 때문인데요
사실 모던 앱을 위한 노드 앗 js 요 다음 시리즈에서는
그러한 비트 연산자 를 사용하는 예제가 있기는 한데
일반 쪽인 프로그래밍에서 비트 연산자는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어쨌거나 그럼 이제 요 세가지 연산자의 사용 방법을 살펴 볼텐데요
일단 로지컬 낮 논리 부정 연산자 낸 단항 연산자 입니다
우리가 -10% 만드는 까 원래 10 인데 우리가 앞에 마이너스 기호를
붙이면 - 12 되죠 그래서 요 - 기어드 일종의 연산자 라고 부를 수
있는데요
딱 하나의 값에 만 적용을 하는 연산자를 단항 연산자 라고 부릅니다
10 + 20 에서 + 같은 경우에는 2개의 값에 적용했기 때문에 이양
연산자가 되고 이후에 알아볼 그
트로 물음표 뭐
1 20 이렇게 쓰면 요 물음표와 요 콜론 은 함께 연결되서 상을 3개
가지는 그러니까 값 책이 의 적용후 라는 연선 자가 되어서 삼아 경산
자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10 로지컬 낫 같은 경우에는
단항 연산자 되겠는데요 뒤에다가 불리언 을 입력을 해 주시게 되면 요
뒤에 있는 불리언 의 값을 반전 하게 됩니다
따라서 트롤을 반전 하며 홀수가 되고 벌들을 반전 하면 들어가 되고 사실
당연히 이렇게 쓰는 경우 높겠죠 건 당연한 값이 니까
예를 들어서 오늘의 평일인 지 확인을 할 때 m
오늘이 월요일 인가
화요일 인가 수요 일인가 모교 일인가
금요일인 가를 확인하는 것 보다는
토요 일인가 그리고 일요일 인가
요렇게 확인하는 게 조금 더 쉬울 겁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논리
연산자를 많이 사용한다.고 생각을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어쨌거나 논리 연산자는 굉장히 이야기 쉬운 연산자 인데요
놀 7 연산자와 논리합 연산자 는 사실 처음 보시는 분이라면 굉장히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영창 자입니다
일단 논리 굽 연산자 같은 경우에는
양쪽에 있는 값이 모두 참일 때
유 위에 경우에만 툴을 내게 됐고 다른 경우에는 벌수 를 내게 됩니다
그러니까 예를 들어서 오늘이
주 말인가 그리고
날씨가
화창한 갈아 그러면 산책을 간다 라는 요러한 조건을 만들 때 사용하는 게
바로
논리적 & 연산자 라고 기억을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반대로 요 아래쪽에 있는 올 같은 경우에는
양쪽에 있는 값 중에 단 하나만 트롬 여는 무조건 투로 라는 값을 출력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양쪽이 모든 펄 쓰인 경우를 제외 를 하게 되면
무조건 적으로 툴을 생각 출력한다. 고 생각을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예를 들어서 지금 배가 고픈 가
또는 점심 식사시간 인가
식사를 한다. 라고 규칙을 만들게 되면 식사 시간에도 밥을 먹고 그냥 배가
고플 때도 식사를 하게 되는 그러한 뭐 참 풍족한 생활을 하게 되는 거죠
져 어쨌거나 지금 요런 조건을 만들어 썼는데요
일단 지금 작성한 코드 처럼 작성하는 경우는 당연히 없을꺼예요
요 양쪽에 비교 연산자를 넣어서 불을 만들고 거기에다가 논리 연산자 나
논리합 연산자 논리 국면 선자를 적용을 하게 되는데요
예를 들어서
그림이 다시 10에 있는 범위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떠한 가 맥스가 10보다 크고 30 보다 작으면 이라는 규칙이 있다
라고 해봅시다
이 규칙을 프로그래밍 언어로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가 이제 문제가 되는데요
10보다 크고 백서는 30 보다 작다
이렇게 표현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도 존재는 합니다
근데 자바스크립트에서 이렇게 표현을 하게 되면은 원하는 값이 나오지 않게
되요
그래서 자바스크립트에서 범위를 표현할 때는
요렇게 비교 연산자를 2번 을 사용하고
논리 연산자를 한번 을 사용해서 거미를 구해야 한다. 라고 일단 잠시
기억을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이후에 굉장히 많이 살펴 볼 것이기 때문에 일단
눈도장 만 상콤하게 찍으셔도 큰 문제는 없을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어쨌거나 추가적으로 체계에는 적지 않은 것을 설명할 텐데요 사실 저는
개인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라는 것은 블랙박스 이기 때문에 내부 구조 까지
모두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물론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드셔야 하는 분이라면
내부 구조를 완벽하게 아셔야 겠지만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서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분이라면 그 만드는 법을 알면 되는 거지
그 안에 블랙박스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 필요는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우리가 자동차 드라이버 라면 4동 자들아 이번 자동차 드라이빙 만 하면
되잖아요
그 자동차 내부를 뜯고 하는건 자동차 정비사 나 제조사가 하는 일이니까요
하지만 그래도 내부를 쪼금 알면 좀 재미도 있고 어디가 더 할말도 생기기
때문에 간단하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프로그래밍 언어는 굉장히 효율적인 녀석입니다 따라서
요렇게 채로 & 트 로 트 로 & 펄스 쏠 샌드 투로 훨씬 & 볼수가
있을 때 두 가지 값을 모두 확인하지 않아요
예를 들어서 앞에 깨 벌 쓰면 뒤에 거 볼 필요도 없이 무조건 펄서 가
됩니다 따라서 앞의 게 펄서 가 되면 프로그래밍 언어는 뒤에 께 무엇이든
무조건 벌써 를 출력을 하기 때문에
요 뒤에 녀석을 절대 보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만약 m
요러한 시기 있다고 치면 앞에 것만 계산을 하게 되고
뒤에 과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넘어가게 됩니다
많은 이 안에 x 에다가 값을 넣는 그런 행위가 있다고 되면 앞에 것만
수행을 하게 되고 뒤에 건 수행하지 않고 넘어가게 되므로 주의가 필요한
내용
사실 요런 코드를 작성한 게 자체가 거의 없기 때문에 몸 기억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어쨌거나 반대로 앞에 가 트로 일 경우에는 뒤에 것까지 확인을 해야
트로이 이제 펄스 인지 확인할 수 있죠 그래서
앞에 깨트릴 경우엔 뒤에 것까지 모두 확인을 하게 됩니다
반대로 우리 월 연산자 같은 경우에는
앞에 꽤 트루 면 뒤에 거 볼 이유도 없이 무조건 투로 가 됩니다
따라서 앞의 것만 확인하고 뒤에 건 전혀 확인하지 않고 넘어가게 되고 요
앞에 것이 펄스 하면 뒤에 끝까지 확인을 해야 트로이 이제 벌써 인지
확인할 수 있겠죠 그래서
앞에 께 펄스 이면 뒤에 것을 무조건 적으로 확인을 해서 처리를 하게
됩니다
사실 요걸 몰라도 프로그래밍을 만드는 데 전혀 문제는 없고 나중에 우리가
x 는 n
x 올 10 요러한 코드를 사용하게 될 거에요
요 코디의 의미 같은 경우에는 x 가
틀어 오면 그러면 무조건 적으로 앞에 것만 검사하고 죄 근무시 하게 되죠
그러면 x 에다가
x 값을 넣게 됩니다 반대로 x 가 펄스 라면
뒤에 것도 확인 해야 되죠 그래서 10을 검사 하게 되는데요
그걸 검사를 하게 되면 x 의 10 이라는 값이 들어가게 됩니다
사실 요건 이후에 우리가 수 것처럼 사용할 내용이기 때문에 그때 가서
그냥 외워 주시면 되구요
일단 요렇게
논리 연산자의 규칙이 있다라고 뭐 기억을 해 주셔도 좋고 기억을 안
하셔도 전혀 사는 된 지장이 없을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어쨌거나 오늘 강의는 여기까지 되겠고 용 다음 강의에서는 본격적으로 값을
변수에 넣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다음 강의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본 사이트의 컨텐츠는 명시적으로 공유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공개된 자료를 수집하여 게시하고 있습니다.

저작권, 강의등록, 광고, 제휴등은 "관리자에게 문의"로 메세지 주시면 확인후 답변드립니다.

Menu